무상증자를 하는 이유, 악재? 호재?

무상증자란?

먼저, 증자란 자본금을 늘린다는 뜻입니다.

자본금은 늘리기 위해서는 주식의 수를 늘려야 합니다.

즉, 주식을 추가적으로 발행을 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주식을 추가적으로 발행을 할 때, 두 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유상증자무상증자입니다.

유상증자는 돈을 받고 주식을 추가적으로 발행한다는 의미이고,

무상증자는 돈을 받지 않고 주식을 추가적으로 발행한다는 의미입니다.

 

기업이 무상증자를 하는 이유

뭔가 "무상증자"라고 하면, 기업에서 주식을 사서 주주에게 무료로 선물을 주는 것 같은 느낌이 들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무상증자는 다른 말로 "형식적 증자"라고도 하는데, 그 이유는 바로 무상증자를 한다고 해서 해당 기업의 자본은 변하지 않을뿐더러 기업의 가치를 의미하는 시가총액 또한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기업은 이러한 아무 의미가 없는 짓을 왜 하는 것일까요?

기업의 자산자본과 부채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본자본금과 잉여금으로 나누어집니다.

여기서 자본금"발행 주식 수 X 액면가"로 쉽게 말하면 주식 발행을 통해 모은 돈이며, 기업에서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자금을 의미합니다.

즉, 상당히 건드리기 어려운 자금이죠.

또한, 잉여금은 말 그대로 "남는 돈"으로 자본금 외에 추가적으로 기업에 쌓인 돈을 의미합니다.

 

자본금은 처분 자유롭지 못한 반면, 잉여금은 그에 비해 처분이 자유롭습니다.

즉, 이러한 잉여금은 다른 불필요한 이유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주주총회의 결정으로 인해 잉여금을 현금배당으로 분배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기업은 잉여금을 설비 투자나 새로운 분야 개척 등의 기업의 발전을 위해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업에서는 이러한 불필요한 자본의 유출을 막기 위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해 주주들에게 배당함으로써,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옮기는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쉽게 예를 들어보자면, 일반 주머니에 들어있던 돈을 안주머니로 옮겨놓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기업은 재무상태를 공고히 하기 위해서 무상감자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무상증자는 악재인가? 호재인가?

위에서 말했다시피, 무상증자는 기업의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옮기는 과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상증자를 한다고 해서 기업의 가치가 변동하거나 자본이 변하는 것은 아닙니다.

즉, 기업의 가치를 의미하는 시가총액이 변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시가총액 = 주식 수 X 주가"

주식을 추가로 받게 되면 그만큼 주가 또한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주주의 입장에서 실질적으로 그렇게 큰 이득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무상증자를 할 경우 늘어난 주식의 수만큼 주가가 떨어지게 되고, 주가가 떨어지게 되면 주식의 거래가 상대적으로 용이해지므로 주식의 유동성이 커집니다.

유동성이 커지게 되면, 주가가 기업의 가치를 더 잘 따라가기 때문에 주가가 오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무상증자를 할 때, 거래소에서는 주식의 수가 늘어난 만큼 주가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는데, 이것을 권리락이라고 합니다.

권리락이 나타났을 때, 갑작스러운 주가의 하락으로 인해 사람들이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때 단기적으로 주가 오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유상증자란? : 3가지 방법
기업분할의 유형 : 물적분할, 인적분할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